1. 들어가며
사용자 경험(UX)에서 실시간성은 이제 필수적인 요구사항입니다. 특히 대기룸과 같은 기능은 즉각적인 피드백과 안정적인 통신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WebSocket 기반 대기룸을 프론트엔드 관점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또한 개발 과정에서 직면한 메모리 릭 발생 위험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도 포함합니다.
2. WebSocket이 필요한 이유
기존의 HTTP 폴링 방식은 실시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요청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 네트워크 과부하: 요청-응답 간의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 응답 지연: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한계
이에 비해 WebSocket은 지속적인 양방향 연결을 제공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대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대기룸의 특성상 WebSocket이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3. 프론트엔드 설계
3.1 대기룸 UI의 주요 기능
-
실시간 대기 상태 표시
- 남은 대기 인원과 예상 대기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
-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처리
- 대기 상태가 변경될 때 UI 요소에 자연스러운 전환 효과 추가.
-
서버와 안정적인 연결 관리
- WebSocket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연결 끊김 발생 시 재연결 시도.
3. WebSocket 구현
3.1 WebSocket 연결과 상태 관리
WebSocket 연결과 상태는 커스텀 훅으로 분리하여 재사용성과 유지보수를 높였습니다.
import { useEffect, useRef, useState } from 'react';
export const useWebSocket = (url: string) => {
const socketRef = useRef<WebSocket | null>(null);
const [messages, setMessages] = useState<string[]>([]);
const [isConnected, setIsConnected] = useState(false);
useEffect(() => {
socketRef.current = new WebSocket(url);
socketRef.current.onopen = () => setIsConnected(true);
socketRef.current.onmessage = (event) => {
setMessages((prev) => [...prev, event.data]);
};
socketRef.current.onclose = () => setIsConnected(false);
return () => {
socketRef.current?.close(); // 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연결 종료
};
}, [url]);
return { socket: socketRef.current, messages, isConnected };
};
3.2 대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UI에 반영
수신된 데이터를 상태에 반영하고, 이를 UI에서 표시합니다.
import { useWebSocket } from './useWebSocket';
const QueueStatus = () => {
const { messages, isConnected } = useWebSocket('ws://localhost:8080');
return (
<div className="queue-status">
{isConnected ? (
<ul>
{messages.map((msg, idx) => (
<li key={idx}>{msg}</li>
))}
</ul>
) : (
<p>서버와 연결되지 않았습니다.</p>
)}
</div>
);
};
export default QueueStatus;
4. WebSocket 메모리 릭 방지
4.1 위험 요인
-
이벤트 리스너의 과도한 등록
- 연결이 반복되면서 새로운 이벤트 리스너가 누적될 위험.
-
연결 누수
- 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WebSocket 연결이 닫히지 않으면 메모리 릭 발생.
-
대규모 메시지 관리
- 불필요하게 많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메모리에 저장할 경우 성능 저하.
4.2 방지 방안
- 리스너 제거 cleanup 함수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이벤트 리스너를 제거합니다.
useEffect(() => {
const ws = new WebSocket(url);
const handleMessage = (event: MessageEvent) => {
setMessages((prev) => [...prev, event.data]);
};
ws.addEventListener('message', handleMessage);
return () => {
ws.removeEventListener('message', handleMessage);
ws.close(); // 연결 종료
};
}, [url]);
-
메시지 크기 제한 대기열 상태를 클라이언트에 전달할 때 메시지 크기를 제한하거나 데이터를 압축합니다.
- WebSocket 메시지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클라이언트 메모리에 불필요한 데이터가 쌓이고, 메모리 사용량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시지 크기 제한과 같은 검증 로직을 추가해야 합니다.
- 이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너무 큰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성능 저하와 메모리 낭비를 예방합니다. 또한 필요 시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가공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const MAX_MESSAGE_SIZE = 1024; // 메시지 크기 제한 (1KB)
const handleIncomingMessage = (message: string) => {
if (message.length > MAX_MESSAGE_SIZE) {
console.warn('메시지가 너무 큽니다. 처리하지 않습니다.');
return;
}
// 메시지 크기가 적절한 경우에만 처리
const parsedData = JSON.parse(message); // 예: JSON 형식의 데이터
updateState(parsedData);
};
// 적용 이유
// - 클라이언트가 처리할 수 없는 대형 메시지가 전송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메모리 과부하를 방지.
// - GC(Garbage Collection)의 부하를 줄여 브라우저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
// - 필요 시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가공하여 효율적으로 처리.
-
최적화된 상태 관리 불필요한 상태 업데이트를 줄이기 위해 React.memo 또는 zustand의 셀렉터 기능을 활용합니다.
- WebSocket에서 많은 메시지가 들어오면 상태 업데이트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태 업데이트가 많아지면 불필요한 리렌더링이 빈번하게 발생, 상태가 계속 누적되면서 메모리가 점차 증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태 업데이트를 최적화해야 합니다.
- 최적화 방법: React.memo: 리렌더링을 최소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예: zustand)의 셀렉터 기능: 특정 상태 변화에만 의존하여 불필요한 업데이트 방지, 오래된 상태를 주기적으로 정리하여 메모리 누적 방지
import { create } from 'zustand';
const useQueueStore = create((set) => ({
messages: [],
addMessage: (msg) =>
set((state) => {
const newMessages = [...state.messages, msg];
// 최대 메시지 50개만 유지
if (newMessages.length > 50) {
newMessages.shift();
}
return { messages: newMessages };
}),
}));
// React.memo로 불필요한 리렌더링 방지
const MessageList = React.memo(() => {
const messages = useQueueStore((state) => state.messages); // 셀렉터로 messages만 의존
return (
<ul>
{messages.map((msg, idx) => (
<li key={idx}>{msg}</li>
))}
</ul>
);
});
5. 결론
WebSocket 대기룸 개발은 실시간성과 안정성이 중요한 기능이었습니다. 특히 메모리 릭 방지 및 상태 관리 최적화를 통해 프론트엔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실시간 시스템 개발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할 수 있었습니다.